둥지 상자에 곤줄박이 입주하다.

    둥지 상자에 곤줄박이 입주하다.

    청계산에 지난달 초 아이들과 함께 달아 놓고 한 달 하고도 1주일만에 갔더니 곤줄박이가 입주해서 새끼 새들 잘 키우고 있네요. 제가 달아 놓은 둥지가 몇 개 있는데 작년에도 그렇고 올해도 그렇고 전부 곤줄박이들만 입주합니다. 뭔가 이유가 있는건지... 둥지를 틀었나 궁금해서 문을 열어보는 순간 조금 떨어진 나무 위에서 새의 경계음 같은게 들리네요. 곤줄박이 한 마리가 먹이 물고는 날개를 흔들어대고 있었습니다. 안은 들여다보지 않아도 상황을 알겠네요. 일단 문은 닫고 멀찌감치 떨여져서 잠시 지켜보기로 했습니다. 곤줄박이 두 마리가 번갈아가면서 먹이를 물고 안으로 들어가서 잠시 후 나오는 모습. 때론 똥을 물고 나오기도 합니다. 이 둥지 상자 말고 하나 더 달아 놓은게 있는데 그건 왠일인지 문이 열린채로 있..

    강화도 탐조

    강화도 탐조

    2017. 5. 8. 출발할때만해도 시야가 괜찮아 보였는데 강화도 가까워질수록 먼지가 눈에 띄게 뿌옇더니 급기야 차 창문을 열기 꺼리낄정도 미세 먼지가 많은 날. 그렇다고 새를 안 볼수는 없고 먼지 속을 누비면(ㅠㅠ) 강화 새들을 보고 왔습니다. 특별히 많거나 특별히 없거나 하지는 않고 그냥 딱 예상했던 정도의 모습이였습니다. 그 와중에 '뒷부리장다리물떼새'를 처음 봐서 보람찬 하루였기도 했고요. 총 56종 정도의 새를 확인했고 그 중에 몇 가지 새 사진 올려봅니다. ↑저어새 ↑모내기를 위에 물 댄 논에 먹이 활동을 하고 있는 중백로 ↑황로 ↑깝짝도요 그 외에 알락도요, 종달도요, 꼬마물떼새 등동 물 댄 논에서 볼 수 있었다. ↑만조때 한쪽에 모여 있는 도요들 - 뒷부리도요, 뒷부리도요, 민물도요, 중부..

    뒷부리장다리물떼새

    뒷부리장다리물떼새

    2017. 5. 8 처음 본 뒷부리장다리물떼새 멀리서 봐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네요. 한 손엔 전화 통화 중, 다른 손으로 쌍안경 들고 훓어 보는데 저~ 멀리 저어새처럼 부리를 휘~ 휘~ 저으며 먹이 활동 하는 뒷부리장다리물떼새 한 마리.. 잠깐, 전화 좀 끊어봐.. 사진 속에 정말 점만 찍혔습니다. 그럼에도 봤음에 대한 인증샷 ^^

    저어새

    저어새

    2017. 5. 8 강화도

    쇠제비갈매기

    쇠제비갈매기

    둘은 무슨 관계일까? 쇠제비갈매기의 구애활동? 한 마리는 열심히 물고기 사냥하고, 한 마리는 가만히 앉아서 먹을거 달라는 듯이(?) 소리 지르고 있고 그 와중에 몇 번의 시도 끝에 물고기 한 마리 잡아서 가만히 앉아서 소리만 지르던 얘한테 갖다 주네요.

    어청도 탐조 (2017. 5. 2.- 5. 4.)

    어청도 탐조 (2017. 5. 2.- 5. 4.)

    2017. 5. 2~4일 예년에 비해 새가 확실히 많이 줄어든게 눈에 보였습니다. 3일간 탐조 결과 75종 정도 관찰했고 그 중 일부 사진 올려봅니다. ↑회색머리딱새 ↑검은가슴물떼새 ↑검은지빠귀 ↑흰등밭종다리 ↑흰배뜸부기 ↑스윈호오목눈이 ↑한국동박새 ↑검은바람까마귀 ↑검은이마직박구리 ↑꼬까참새 ↑산솔새 ↑노랑눈썹멧새 ↑되솔새 ↑메추라기도요 ↑북방쇠찌르레기 ↑붉은배지빠귀 ↑쇠붉은뺨멧새 ↑쇠유리새 ↑왕눈물떼새 ↑울새 ↑장다리물떼새 ↑청다리도요 ↑촉새 ↑큰유리새 ↑황금새 ↑흰날개해오라기 ↑흰눈썹붉은배지빠귀 ↑힝둥새

    회색머리딱새

    회색머리딱새

    2017. 5. 3. 어청도

    검은지빠귀

    검은지빠귀

    2017. 5. 4. 어청도 검은지빠귀 암컷 (수컷은 눈으로 확인은은 했으나 사진을 찍지 못함)

    한국동박새

    한국동박새

    2017. 5. 2. 어청도

    흰배뜸부기

    흰배뜸부기

    2017. 5. 3 어청도

    스윈호오목눈이

    스윈호오목눈이

    2017. 5. 3. 어청도

    장다리물떼새

    장다리물떼새

    2017. 5. 3 어청도

    흰등밭종다리

    흰등밭종다리

    2017. 5. 3 어청도

    검은가슴물떼새

    검은가슴물떼새

    2017. 5. 2 어청도

    왕눈물떼새

    왕눈물떼새

    2017. 5. 2 어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