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비둘기

    흑비둘기

    울릉도 흑비둘기 이번 울릉도 가면서 꼭 보고 싶었던 것은 흑비둘기와 섬참새였다. 결과는 흑비둘기는 봤는데 섬참새는 코빼기도 안보였다는 거. 흑비둘기도 너무나 예민해서 우리가 보기 전에 먼저 앞서서 퍼더덕 퍼더덕 날아가버려서 쉽게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그 와중에 딱 한번 가까이 앉아줘서 제대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렇게라도 흑비둘기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섬참새들은 다 어디 가 있었던걸까? 뭔가 섬참새처럼 생긴게 움직여서 보면 그건 전부 되새였고 3박 4일동안 전혀 보지 못했다.

    유색 가락지를 단 붉은어깨도요

    유색 가락지를 단 붉은어깨도요

    2016. 4. 4. 다리에 노란색 가락지를 단 붉은어깨도요. 그리고 잘 안보이지만 다른쪽 다리엔 금속 가락지를 꼈다. 저렇게 노란 가락지가 달렸다는 건 겨울동안 호주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북부에서 지냈다는 뜻.참 먼거리를 무사히 왔다. 앞으로 남은 여정도 무탈히 잘 하길 바래본다.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

    얼마전부터 보고 싶었던 수리부엉이를 기적처럼 찾았다.

    중랑천, 그리고 적갈색흰죽지

    중랑천, 그리고 적갈색흰죽지

    오리들은 언제쯤 북으로 올라갈까? 그래서 날씨가 따뜻해지기 시작한 지난주 중랑천을 가봤다. 아직도 오리들이 있는지, 있으면 얼마나 있는지 그리고 언제까지 볼 수 있는지 궁금했는데 결론은 많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아직은 남아 있었다.한 겨울처럼 몇 만마리는 아니지만 그래도 탐조할만큼은 있있고 거기다가 적갈색흰죽지를 보는 횡재까지 했다. 2016. 3. 18 중랑천 탐조물닭, 흰죽지, 댕기흰죽지, 적갈색흰죽지, 흰뺨검둥오리, 고방오리, 알락오리, 넓적부리, 청둥오리, 원앙, 왜가리, 쇠오리, 재갈매기, 한국재갈매기, 뿔논병아리, 논병아리, 민물가마우지 등 17종.[적갈색흰죽지][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합수부의 모습]

    흰머리오목눈이

    흰머리오목눈이

    복자기 나무즙을 먹고 있는 흰머리오목눈이. 오목눈이의 아종으로 오목눈이랑은 다르게 겨울에만 보이는 겨울철새. 오목눈이랑 무리지어서 다니네요.

    나무발바리

    나무발바리

    올 겨울엔 나무발바리가 여기 저기 많이 보인다길레 한번 찾아볼까 하고 어제 오전 동작 현충원을 찾았다. 두어시간 열심히 찾았는데 보이지 않았다. 아무리 많아도 그렇게 쉽게 보이진 않겠지 하면서 집으로 돌아왔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동네 앞산을 뒤져보고자 대충 점심 먹고 다시 나왔다. 매일 보는 박새, 쇠박새, 딱따구리들, 물까치, 까치 등등 매일 보이던 애들이 여전히 보인다. 그리고 가끔 보이는 굴뚝새도 한마리 보이고.. 나무발바리는 어딧니?..그렇게 열심히 여기 저기 나무를 들여다보는 순간 왠지 예전에 들었던듯 한 이 소리는.... 설마 나무발바리?..주변을 샅샅이 뒤져보는데 순간 몇 미터 앞 나무에 달라붙어 있는 나무발바리가 보이다.오... 이렇게 찾기도 하는구나.그렇게 3년만에 다시 나무발바리를 봣..

    철원

    철원

    2년만에 갔다 온 철원. 민통선 바깥 지역이였음에도 2년전보다 두루미 무리가 제법 많았다. 많아서 좋긴 한데 왜 많아졌을까? 그 사이 환경이 좋아져서는 아닐거고 같이 간 일행 분이 혹 민통선 안 환경이 안좋아져서는 먹이를 주는 민통선 바깥으로 몰려든건 아닐까 라는 이야기를 한다. 글쎄요 잘 모르겠네요. 이날 두루미 종류로는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등 총 3종 관찰했다.두루미재두루미멀리 어렴풋이 보이는 흑두루미 한가족먹이를 주는지 제법 많은 두루미 무리. 쇠황조롱이쇠기러기 무리쑥새콩새큰고니 등.

    동박새 둥지

    동박새 둥지

    동박새 둥지라는군요. 자세히 보지 않으면 그냥 모르고 지나칠만큼 작은 둥지. 누군가 알려줘서 봤지 안그랬으면 이것이 둥지라는 것을 알아채지 못했을것 같습니다. 동박새는 꾀꼬리처럼 나무 가지끝에 매달아 놓은 듯하게 둥지를 짓네요.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2015. 12. 24 국립수목원

    노랑턱멧새 둥지

    노랑턱멧새 둥지

    어떻게 보면 붉은머리오목눈이 둥지 같아 보이기도 하지만 붉은머리오목눈이 둥지의 오목하니 동그랗게 단단함과는 조금 달라보이는 모습이 특징.잘 허무러지고 조금은 납작해 보이기도 하고 안쪽이 더 넓어 보이는 노랑텃멧새 둥지. 바닥에 둥지를 틀기도 하지만 때론 이렇게 낮은 관목 사이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네요.2012. 12. 24 국립수목원

    홍자단

    홍자단

    2015. 12. 9 보라매공원

    알락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2015. 7. 1정말 생각지도 않게 봤던 '알락개구리매' 처음 쌍안경으로 주변을 흟어보는데 까치 같은게 색깔이 이상한게 있어서 '저 까치는 왜 색이 저래?' 이러면서 들여다보는데 아무래도 까치는 아닌것 같아 자세히 보니 알락개구리매! 이렇게도 뜻밖의 새를 만나게 되는구나. 그렇게 알락개구리매와의 만남은 정말 놀랍고 가슴 떨리는 순간이였다.급한 마음에 카메라 셔터를 마구 눌렀는데 안타깝게도 다 포커스가 맞지 않았다. 그것도 심하게.. 그나마 그 중에 조금 나아보이는게 바로 아래 한 컷... 아쉽다. 다시 보러가야 되려나..

    검은어깨매

    검은어깨매

    2015. 2. 12012년 초 강서습지에 처음 나타나서 탐조인들을 즐겁게 했던 검은어깨매가 두번째로 나타났다는 소식을 볼 사람 다 본 뒤에서 소식을 접하곤 뒤늦게 찾아갔는데 다행히 아직까지는 때 되면 쥐 잡아먹으면서 잘 머무르고 있었네요.사람들의 사진을 보면 이렇게 쥐를 잡아먹는 사진들이 여러컷 보여서 와~ 대단하다 이랬는데 우리가 찾은 날도 내내 안보이다 해가 지기 직전에 사냥하러 나타나서는 이렇게 쥐를 한 마리 잡고 나무 위에서 먹네요. 나름 얘의 성향인가 봅니다.정지비행도 멋지고,사냥하는 모습도 멋졌던 검은어깨매였습니다. - 덤으로 물때까치 사진도 한장 올려봅니다.

    새 둥지들

    새 둥지들

    낙엽이 지면 비로소 보이는 것 - 새 둥지. 오늘 산책 중 동네 앞산과 아파트 단지에서 찾은 빈 새 둥지들. 나뭇잎이 달렸을땐 그렇게 눈에 안 띄던게 이젠 너무 쉽게 보이네요. 이 중 위 맨 오른쪽 둥지는 어치 둥지인데 지난 여름 어치 한 마리가 나무 사이로 들어가길레 둥지가 있나 찾았음에도 못 찾고 이후 잊고 있었는데 혹시나 다시 찾아보니 이렇게 쉽게 찾을 수 있는 걸.. 못 찾다니..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 지빠귀종류, 붉은머리오목눈이, 어치, 직박구리, 직박구리, 멧비둘기의 둥지들로 추정됩니다. (틀릴 수 도 있음)

    멋쟁이새

    멋쟁이새

    2014. 12. 25 6마리쯤 까치산에서 확인. 까치산에서 멋쟁이새를 처음 본줄 알았는데 예전 기록을 찾아보니 작년(2013년) 봄 한 마리 봤던게 기록되어 있었다.

    모감주나무

    모감주나무

    2014.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