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잎양지꽃과 점날개잎벌레

    세잎양지꽃과 점날개잎벌레

    양지꽃도 종류가 다양해서 볼때마다 이게 뭘까 싶다. 양지바른 곳에 한 무데기 피어 있는 이 꽃은 잎이 세장이여서 세잎양지꽃. 사진 찍으려고 가까이 다가가서 살펴보니 꽃 사이에 곤충들도 간간히 보인다. '점날개잎벌레'로 추정된다. 이른 봄 민들레 같은데서도 어렵지 않게 보이는 곤충. 볼때마다 이름을 찾아보곤 다시 1년이 되면 기억이 안나 또 도감 보면서 찾기를 반복하고 있다. 이번엔 잊지 않기 위해서 기록해 둔다. ^^[세잎양지꽃][세잎양지꽃 사이에 점날개잎벌레]

    고깔제비꽃과 흰털제비꽃

    고깔제비꽃과 흰털제비꽃

    청룡산 모니터링 중 눈의 띄는 제비꽃 두 종.1. 고깔제비꽃잎보다 꽃이 먼저 피고 이제 잎이 피어나는 고깔제비꽃. 도감에 쓰여 있는 부분을 인용하자면, 뿌리에 모여 나는 잎은 꽃이 필 무렵, 잎의 밑 부분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려서 중이 머리에 쓰는 고깔 모자처럼 되어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라고 되어 있다.2. 흰털제비꽃. 잎자루와 꽃자루에 보면 하얀털이 뽀송 뽀송. 얘는 고깔제비꽃과 달리 오히려 잎은 다 나 있는데 아직 꽃이 봉오리 상태였다. 어제 봤을때 이랬으니 오늘 비가 온 후 활짝 필 듯 싶다.

    빈카

    빈카

    어제 잠깐 관악산 자락에 있는 청룡산에 프로그램 진행을 위해 모니터링 갔었다. 입구에 조그맣게 피어 있는 이 꽃. 눈에 익은데 이름이 뭔지 모르겠다. 이럴땐 일단 사진을 찍고 집에 와서 찾아보기. '빈카'였다. 원예종. 그 밑에 달랑 한줄로 아래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었다.'남부 지방의 화단이나 화분에 심어 기르는 덩굴성의 늘푸른관엽식물이다.'

    배풍등

    배풍등

    관악산에 낮선 빨간 열매. 같이 갔던 사람들한테 물어보니 '배풍등'이라고 이야기를 해준다. 배풍등? 처음 들어보는건데 이 열매를 처음 본 것은 2년전 제주 올레길 걸을때였다. 생김새가 꼭 방울토마토처럼 보여서 하나를 따먹어봤다. 그런데 맛이 방울토마토는 전혀 다르고 이상한 맛이 났다. 일단 뱉었다. 이후 잊고 있었는데 오늘 관악산에서 찾은것이다. 배풍등.. 이름이 특이해서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한자 이름인것 같았다. 排風藤(배풍등) '풍을 물리치는 덩굴식물?' 아무래도 약재로 쓰던데서 위와 같은 이름이 지어진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누린내풀과 호장근

    누린내풀과 호장근

    북한산 둘레길을 걷는데 길가 주변에 피어 있던 꽃이 있는데 이름이 뭔지 몰라 일단 사진 찍고 집에 와서 찾아보니 누린내풀과 호장근이였다. 누린내풀은 잎과 꽃에서 누린내가 난다고 붙여진 이름이라는데 꽃이 이렇게 이쁜데 누린내풀이라니 꽃과 이름이 영 매치가 되지 않는다. 다음에 보게 되면 한번 냄새는 맡아봐야 될 듯 하다. 호장근은 보면서 호장근스럽다 했는데 도감을 찾아보니 호장근이였다. ^^ 전에 아차산생태공원에 호장근으로 알고 있던것이 호장근이 아니라던데 이번에 보니 아차산거랑 이거랑은 다른게 맞는듯 싶다. [↑ 누린내풀] [↑ 호장근] [↑ 호장근]

    맥문동, 꿀벌

    맥문동, 꿀벌

    2011. 8. 22 관악산 맥문동 꽃이 만개했다. 꽃은 봄에 핀다고 생각하지만 여름 꽃도 상당히 많다. 그중에 맥문동 또한 무시 할 수 없는 여름 꽃. 비록 인공 조성되어 있어서 사람 냄새가 물씬 풍기지만 그래도 그 짙은 보라색 빛을 보고 있으면 정말 이쁘다 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꽃대에 조롱 조롱 매달려 있는 꽃봉오리들. 꽃송이 하나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꽃잎, 꽃받침, 암술, 수술 있을거는 다 있다. 거기다가 이쁘기까지... 이 꽃에 꿀벌들이 왕창 몰려들었다. 이맘때쯤 꿀벌의 허기를 채워줄 꽃이 별로 없는걸까? 동네 꿀벌이 다 몰려와 있는 듯했다. 어떤 꽃에는 매미허물도 매달려 있고 곤충의 세계에선 맥문동 하나에 여러 목숨 달려 있나보다.

    옥잠화

    옥잠화

    낙성대 안국사 경내 안에 옥잠화가 활짝..

    무릇과 맥문동

    무릇과 맥문동

    낙성대 공원 안국사 안쪽에 쭈삣 쭈삣 피어 있던 무릇. 어떤 무릇은 삼층석탑 가이드 라인 안쪽에, 어떤 무릇은 안국사 안쪽 잔디밭에..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는 구역에 피어난 무릇은 맥문동과 많이 혼돈 되는 꽃. 아주 짙은 보라색을 띄는 맥문동에 비해 옅은 보라색의 무릇. 둘다 이 여름날을 대표하는 예쁜 꽃이다.

    수련

    수련

    2011. 6. 15 우면산 오전 9시 30분쯤 수련은 꽃을 활짝 활짝 폈습니다. 12시가 넘어가고 오후 2시쯤 되면 꽃을 꼭 다물어 버립니다. 그래서 이름이 '수련'입니다. 한자로는 '睡蓮'이지요. 잘 수, 연밥 연. 잠을 자는 연 이라는 뜻이지요. 이렇게 아침에는 폈다가 오후에 들면서 꽃이 오므라드는 모양을 보고 이런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창덕궁의 꽃

    창덕궁의 꽃

    예쁘게 피어 있는 창덕궁의 꽃.

    5/7 낙성대에 피어난 풀꽃들

    5/7 낙성대에 피어난 풀꽃들

    [선개불알풀] [개미자리] [꽃마리] [주름잎] [봄맞이] [점나도나물] [벼룩나물] [?] [흰민들레] [지칭개] [뽀리뱅이] [?]

    수선화

    수선화

    2011. 4. 28 우면산 근 1달만에 우면산을 찾았는데 수선화가 참으로 예쁘게 피어 있었다.

    개별꽃

    개별꽃

    관악산에 개별꽃이 활짝 폈다. (2011. 4. 15)

    남산제비꽃

    남산제비꽃

    지금 관악산엔 한참 남산제비꽃이 피어나고 있다. - 솔봉 아래

    제비꽃

    제비꽃

    풀꽃들 중에서 도심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꽃 중의 하나 제비꽃.. 지난 4월 1일 처음 봤는데 며칠 사이에 제법 많이 눈에 띄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