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말나리

    하늘말나리

    2013년 4월 초. 숲 주변에 현호색 꽃이 올라올 즈음 뭔지 모를 풀이 돋아 난 것을 보고 대체 저기 누굴까 궁금했다. 그렇게 모르는 풀은 일단 사진을 찍고 도감에서 찾아 보거나 알만한 사람한테 물어보고 확인을 하는데 이 풀은 도감을 뒤져도 찾지 못했고, 딱히 특징이 별로 없어 보여 다른 사람한테 물어보지 못하고 그렇게 모른채 지나갔다. 아마 별 특징이 없어서도 그랬지만 특별한 풀이 아닐거라고 생각해서 알아보지 않았을 것이다.그 후 올 봄. 같은 장소에 갔더니 이 풀이 거의 비슷한 크기로 자라나 있었다. 갑자기 궁금해졌다. '넌 대체 누구냐?' 그리곤 다시 사진을 찍고 와서 인터넷 야생화 모임 같은데다 물어봤다. 그랬더니 얼마 안되 누군가 하늘말나리인것 같다고 알려줬다. '아~ 하늘말나리?....*.*..

    제비꽃들

    제비꽃들

    [고깔제비꽃][고깔제비꽃][고깔제비꽃][태백제비꽃][잔털제비꽃][잔털제비꽃][털제비꽃][털제비꽃][남산제비꽃][제비꽃][흰젖제비꽃][흰젖제비꽃][흰털제비꽃][콩제비꽃]

    까실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2014. 10. 11 청계산최근 들어서 쑥부쟁이 종류에 대해서 관심 가지면서 까실쑥부쟁이를 알게 되었는데 지난주 토요일 청계사 주변에 갔더니 한눈에 까실쑥부쟁이임을 알 수 있는 쑥부쟁이가 있었습니다. 잎사귀를 만져보니 역시나 까실 까실... 네가 까실쑥부쟁이 맞지~!! 하면서 찍어왔네요.

    갯개미취

    갯개미취

    2014. 10. 6 강화도생긴건 쑥부쟁이 종류 같아 보이는데 아무리봐도 쑥부쟁이는 아닌것 같아 사진 찍어 확인해보니 '갯개미취' 왠지 개미취의 느낌이 조금 풍기더니 그쪽이 맞네. 그런데 갯개미취는 생각도 못했는데 이렇게 생겼구나. 또 하나 새로운 식물 하나를 눈에 익혀본다.

    산부추

    산부추

    2014. 10. 7강화도에서 본 산부추 - 숲 속 불꽃놀이라 이름을 붙여줬다.

    애기며느리밥풀꽃

    애기며느리밥풀꽃

    2014. 9. 30 인왕산 정상 부근 소나무 숲 아래 피어 있던 애기며느리밥풀들.. 이쁘다. 새며느리밥풀이랑 애기며느리밥풀이랑 비슷해서 조금 헷갈리긴 하지만, 새며리는 꽃이 촘촘히 피고 애기며느리밥풀은 사진처럼 듬성 듬성 핀다고 하니 애기며느리로 .. 꽝꽝꽝~ ^^

    이삭가시풀(대청가시풀)

    이삭가시풀(대청가시풀)

    2014. 9. 3 대청도대청도 숙박지 주변 습지를 메꿔서 평지로 만든 잡초가 무성한 곳에 들어갔다가 신발과 바지에 이상한 씨앗이 엄청 붙었다. 뭘까.. 생긴건 도꼬마리랑 비슷한데 도꼬마리보다 크기가 작고 동그란 모양, 그리고 가시는 훨씬 날카로워서 옷에 붙은걸 뗄때 잘못하면 손에 찔릴기세다.대체 어느 풀의 씨앗일까 보니 외로로 사초과처럼 생긴 풀의 씨앗.. 이게 대체 뭘까~ 처음 보는건데.. 사진을 찍고 주변에 알만한 사람들한테 물어봐도 아무도 모른다. 그러다 어제 아는 지인한테 여쭤보니 '대청가시풀(이삭가시풀)'이라고 한다. 이름을 가지고 인터넷 검색해보니 벼과 식물이며 귀화식물이며 현재 대청도와 백령도 습지 주변에서 보이는 식물이라고 되어 있다. 그랬구나. 역시 육지에서는 안보이는 식물이였다. 그런..

    자주괴불주머니

    자주괴불주머니

    2014. 4. 13 관악산

    청유채

    청유채

    2014. 3. 25 동작 현충원이른 봄 날 핀 꽃이 아직은 많지 않아 이렇게 활짝 핀 꽃은 아무래도 눈이 갑니다. 처음 보는 이 꽃.. 뭘까? 줄기와 잎은 유채랑 흡사한데 꽃은 핑크색이네요. 여기 저기 찾아 본 결과 '청유채'라고 합니다. 유채 개량종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유채랑 비슷하다 생각했는데 역시나 그랬네요. 처음 봤네요. 이런 것도 있었군요.

    계요등

    계요등

    제주 여기 저기에서 봤던 열매. 덩쿨성 식물인지는 알겠는데 이름을 모르겠다. 나중엔 어떻게 어떻게 이름을 확인해 보니 "계요등" 서울에서도 계요등 꽃은 간간히 봤던 것 같은데 이렇게 열매는 보지 못했던것 같은데 제주엔 참 많이도 있었다. 닭의 오줌 냄새가 난다고 이름이 "계요등"이라는데 어디에서 냄새가 나는걸까. 꽃?, 잎? 줄기?.....

    가락지나물

    가락지나물

    2013. 6. 8 과천잎이 단풍잎처럼 손바닥 모양으로 되어 있는게 예뻐서 자세히 들여다 보게 된 잎. 양지꽃 종류인데 뭘까 궁금해서 사진을 찍어 봤다. 양지꽃은 아니고 사촌쯤 되는 '가락지나물'이라고 나와 있다.

    고깔제비꽃

    고깔제비꽃

    2013. 4. 12 청룡산 작년에 봤던 고깔제비꽃이 이제 막 꽃을 피우기 시작하고 있었다 올해는 추워서 작년보다 늦은줄 알았는데 작년 사진을 보니 엇 비슷하게 피기 시작하는 듯..

    가는잎그늘사초

    가는잎그늘사초

    지난 3월말 청계산 아이들 중 한 명이 바닥에 모아져 나 있는 풀 이 뭐냐고 물어본다. 그때는 나도 몰라서 "글쎄.." 하고 지나갔는데 이후 10일쯤 후에 갔더니 사진속 모습처럼 하얀 꽃이 피어 있었다. 사초과 식물 가는잎그늘사초..

    현호색

    현호색

    2013. 4. 3 청계산이제 슬슬 피어나는 중. 따뜻한 곳에는 피었고 북사면 쪽엔 아직.. 점현호색과 왜현호색

    자주쓴풀

    자주쓴풀

    2012. 10. 10 전주 어느 산골짜기 길가..산지 양지쪽에서 자라는 두해살이 풀로 몹시나 쓰다고 이름도 '자주 쓴풀' 얼마나 쓰길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