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왕오색나비

    왕오색나비

    2011. 8. 6 광릉 사람들이 자주 다니는 벤치 옆 옆에 가도 꼼짝하지 않는다. 아마 수명이 거의 다 된 듯. 그래도 혹시 누군가의 발에 밟히면 안 될 것 같아 밑에 나무 가지를 들어 옆으로 옮겨줬다.

    참매미

    참매미

    2011. 08.09 시끄럽게 울어대던 참매미.

    호리홍반디

    호리홍반디

    2011. 8. 9. 까치산 홍날개라고 생각했는데 비슷하긴 하지만 머리 부분이 좀 달랐다. 찾아보니 '호리홍반디'

    썩덩나무노린재 부화 일지

    썩덩나무노린재 부화 일지

    2011. 8. 9 오전 아이들과 놀때 필요한 단풍잎을 몇장 땄는데 그 중 하나에 알들이 잔뜩 붙어 있었다. 이런~ 이미 따버렸는데 어째야 되나? 일단 집에 들고 왔다. 가지런지 알들이 모여 있는 것을 봐서 노린재 알로 보인다. 2011. 8. 10 저녁 루뻬로 알들을 살펴보니 알의 윗쪽에 삼각형 까만 무늬들이 생겼다. 앗 드디어 나올때가 된건가? 긴장 모드.. 2011. 8. 11 아침 어제 밤에 안보이던 빨간 무늬까지 보이네. 시간이 얼마 안남은듯 하다. 나오는 과정을 보고 싶은데 밖에 일보러 나가야 될 상황.. 어쩌나. 근데 알들을 자세히 보면 위쪽에 동그랗게 테두리가 생겨 있다. 아마도 저 부분이 뿅~ 열리면서 알이 나오는것인가 보다. 2011. 8. 11 밤 역시 밖에 나갔다 와보니 알들은 이미..

    버들하늘소

    버들하늘소

    2011. 7. 30 전봇대에 붙어 있었던 버늘하늘소. 작년에 우면산에서 암놈을 봤었는데 이렇게 보니깐 암놈,숫놈이 확연히 구분되네. 암놈은 산란관이 길게 나오면서 더듬이가 좀 짧은 편이였는데, 숫놈은 더듬이가 길면서 산란관이 없다. 참고로 도감에 보면 평지와 야산의 잡목림에 살며, 6~8월에 활동하고 오리나무, 황철나무, 버드나무 등 썩은 낙엽활엽수 속에서 애벌레나 번데기 상태로 겨울을 나고 늦봄에 어른벌레가 된다고 되어 있다.

    깃동잠자리, 고추좀잠자리

    깃동잠자리, 고추좀잠자리

    2011. 7. 21 낙성대 주변 잠자리의 계절이 돌아왔다. 낙성대 주변을 한바퀴 돌았는데 대부분 보이는 잠자리는 깃동잠자리였고 낙성대 공원 안에 있는 물가에서 고추좀잠자리 한마리를 봤다. 작년에 이렇게 저렇게 구분 포인트를 어느정도 정리하고 그래도 웬만큼 흔하게 보이는 잠자리는 동정을 했었는데 1년동안 안봤더니 다시 또 이녀석이 누구더라.. 하면서 동감을 들쳐봐야 되는 상황.. 아으~ 깃동잠자리 : 날개 깃에 까만색깔, 가슴에 선명한 줄 세개 고추좀잠자리 : 가슴에 양쪽에 선과 가운데에 있다가 끊어지는 선.. [깃동잠자리] [고추좀잠자리 : 가슴 무늬 중 가운데 무늬가 아래만 있고 위쪽은 끊어져 있음]

    큰허리노린재

    큰허리노린재

    2011. 7. 16. 문경 크기가 컸다. 지금까지 봤던 노린재 중에 제일 컸는데 조류 조사 중이여서 급하게 찍느라고 자세히 보지 못했다. 대충 사진만 찍고 집에 와서 확인해 보니 '큰허리노린재' 몸길이 19~25mm. 수컷의 뒷다리 넓적다리마디가 특히 굵고 그 표면에 미세한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다. 산지의 풀밭에 살며 어른 벌레는 5~9월에 활동하는데 엉겅퀴와 양지꽃, 머위 등에 모인다고 나와 있다.

    털보왕버섯벌레

    털보왕버섯벌레

    2010. 8. 26 관악산 벚나무 내일 프로그램 진행 때문에 사진을 정리하다가 작년에 찍은 사진 중 누군지 확인이 안되는 곤충이 있었다. 버섯 옆에 붙어 있어서 버섯과 관련이 있는건가 싶어 도감을 찾아보니 역시 이름도 '털보왕버섯벌레' - 떡갈나무에 난 버섯에 모여든다. 라고 되어 있다. 역시 버섯과 관련된 버섯이였어. ^^ 사진속에 버섯은 치마버섯인것 같다.

    대왕나비

    대왕나비

    2011. 7. 11 포천 계곡 주변 - 암수는 날개 색이 다른데 수컷은 적황색 바탕에 검은 줄무늬가 있고 암컷은 흰색 바탕에 검은 줄무늬가 있다. - 숲이 우거진 계곡 주변에 많이 살고 다니면서 동작이 꽤 민첩함. - 어른 벌레는 7월 초순~8월 중순에 한번 나타남. - 암컷은 애벌레의 먹이 식물인 신갈나무, 굴참나무 잎에 알을 낳는다.

    무당벌레 (더 추가 예정)

    무당벌레 (더 추가 예정)

    이 게시물에는 다양한 모양의 무당벌레 사진들을 넣어 볼 예정임. - 2011. 7. 8 숲속도서관 옆 조릿대에서 놀고 있는 무당벌레

    풀색꽃무지

    풀색꽃무지

    20110. 7. 8 관악산 장미원 개쉬땅나무 몸 빛깔이 녹색과 적동색, 검은색 등이 있음. 밤나무, 장미, 찔레나무, 해당화, 복숭아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등 여러 꽃에 모여들어 꽃가루와 꿀을 먹음. 애벌레는 땅속에서 썪은 부식토를 먹고 1~2년 동안 자란 후 어른 벌레가 됨.

    왕팔랑나비

    왕팔랑나비

    2011. 7. 8 관악산 장미원 비비추에 꿀 따러 가는 왕팔랑나비 - 앞날개 가운데에 있는 5개의 흰색 무늬가 1개의 띠를 만들고 날개 끝 부분에 3개의 흰 무늬가 있다. - 낮은 산지의 경작지 주변이나 산 길가에 살고 배추, 무, 꿀풀, 엉겅퀴, 개망초, 참사리에서 꿀을 먹는다. - 어른 벌레는 5~7월에 한번 나타난다. - 조록싸리, 참싸리, 칡, 아카시나무의 잎 뒷면에 공 모양의 알을 하나씩 낳는다.

    두점애기비단나방

    두점애기비단나방

    2011. 7. 6 관악산 환삼덩굴 새 잎에서..

    오색나비, 황알락팔랑나비

    오색나비, 황알락팔랑나비

    2011. 7. 6 오색나비 - 계곡 주변, 황알락팔랑나비 - 성주암 가는 길 밭 옆 개망초에서.. 오색나비 검은색과 황색형 2가지가 있다. 어른 벌레는 5~7월, 8~9월 등 두번 나타난다. [2011. 8. 31 오색나비 추가 - 관악산 계곡 부근 ] 황알락팔랑나비 암수의 무늬는 거의 같으나 암컷은 수컷보다 날개 앞면의 바탕색이 다소 연하고 날개 폭이 넓으며 약간 둥그스름하다. 숲이나 산길 주변의 풀밭에서 엉겅퀴등 여러가지 꽃에 모여들어 꿀을 빨아 먹는데 어른 벌레는 7~8월에 한번 나타난다. 암컷은 강아지풀, 참억새, 돌피 등 벼과 식물에 알을 낳는다.

    붉은산꽃하늘소, 오리나무잎벌레,파리매

    붉은산꽃하늘소, 오리나무잎벌레,파리매

    붉은산꽃하늘소 - 누리장나무에서 확인 오리나무잎벌레 - 성충과 애벌레가 물오리나무 잎을 갉아먹고 있었다. 파리매 - 암놈 (암놈은 꼬리 끝이 청림색으로 광택이 나고 숫놈은 꼬리 끝에 흰색 털이 다발로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