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옹호와 그 주변 갯벌
도요들이 왔을까 궁금해서 잠시 화옹호와 근처 갯벌을 살펴봤습니다. 마도요와 알락꼬리마도요와 일부 도요가 보이기 시작하는데 아직 본격적인 이동시기는 아닌듯 했습니다. 앞으로 보름 후부터 한달까지가 본격적인 이동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며 보름 후 다시 가보기로 했습니다.
이날 보였던 새는 아래와 같이 41종 정도가 관찰되었습니다.
- 꿩
- 혹부리오리, 알락우리, 홍머리오리,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넓적부리, 고방오리, 가창오리, 쇠오리, 흰죽지, 검은머리흰죽지, 흰뺨오리, 비오리
- 논병아리, 뿔논병아리
- 노랑부리저어새
- 왜가리, 대백로
- 민물가마우지
- 황조롱이,
- 말똥가리, 독수리
- 검은머리물떼새
- 큰뒷부리도요, 마도요, 알락꼬리마도요, 좀도요, 민물도요,
- 검은머리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 괭이갈매기, 재갈매기, 한국재갈
- 멧비둘기
- 오색딱다구리
- 큰주리까마귀, 떼까마귀, 까치
- 붉은머리오목눈이
- 종다리
총 41종
↑오리들, 특이한 건 가창오리가 300여마리쯤 관찰 됨
↑노랑부리저어새 등
↑마도요, 알락꼬리마도요, 큰뒷부리도요 등..
↑검은머리물떼새
↑혹부리오리
↑말똥가리
'새 > 탐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부도 (0) | 2018.04.04 |
---|---|
3월 소청도, 대청도, 백령도의 새들 (0) | 2018.03.31 |
강서습지 탐조 (0) | 2018.02.14 |
서울숲, 중랑천 탐조 (0) | 2018.01.30 |
궁궐의 새들 (창경궁, 경복궁) (0) | 2018.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