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두가지 버섯

    두가지 버섯

    2012. 8. 21한참 비오는 시기에 관악산 등산로 주변에서 본 버섯. 이름 확인은 못함.위에 빨간색 버섯은 조릿대 사이에, 아래 하얀색 버섯은 소나무 숲, 솔잎 사이에 있었다.[추가 2012. 9. 4] 첫번째 버섯은 붉은말뚝버섯으로 확인했다. 왠지 익숙하다 싶었는데 역시 2년전 이맘때 봤던 버섯이였다. --;; 주로 대나무나 숲바닥에서 자라는데 내가 봤던 곳도 조릿대 사이였음.

    애이끼버섯

    애이끼버섯

    창덕궁 옥류천 바위 이끼위에 자라고 있던 버섯인데 '애이끼버섯'으로 동정해봤다.숲속, 정원, 초원 등 이끼가 많은 곳에 자라는 버섯이라고 되어 있다.

    먹물버섯

    먹물버섯

    정원, 목장 잔디밭 등 비옥한 땅 위에 다발 또는 무리지어 난다. 검은 잉크같이 액화하여 자루만 남는다. 자루는 15~25cm, 속이 비고 기부가 굵다. 길가, 정원 등 인가주변에 많이 나고 술과 함께 먹으면 해가 있다고 함.

    등색가시비녀버섯 (비녀버섯)

    등색가시비녀버섯 (비녀버섯)

    2011. 7. 6 관악산 잣나무 숲, 썩은 고목에서 첫번째 모습이 일반적인 버섯의 모양인것 같고 시간이 흐르면 두번째 사진처럼 약간 하얀색을 띄는 것 같다. 세번째 네번째 사진은 찍을 당시엔 다른 버섯이라고 생각했는데 컴퓨터로 사진을 확인해보니 색깔과 갓에 붙어 있는 것들, 대의 모습과 주름살의 형태를 보고 이 버섯의 처음 나올때 모습으로 보인다. 첫번째 사진과 두번째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버섯 주변에 조그만 노란색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새롭게 피어날 이 버섯들인것 같다. [도감 내용 인용] 생태형 : 부생균 포자문색: 백색 발생장소 : 숲속 활엽수류의 쓰러진 나무나 낙지 등에 난다. 발생시기 : 6월~9월

    고약버섯

    고약버섯

    2010. 10. 24 관악산 생긴게 우리가 아플때 붙였던 고약과 비슷하다하여 '고약버섯'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단다.

    관악산 버섯 (2010/10/16)

    관악산 버섯 (2010/10/16)

    다른 버섯들은 10월 중순쯤 되니 거의 안보였는데 이 버섯은 유독 여기 저기 많이 보였다. 거의 버섯의 끝물에 많이 피어나는 이 버섯은 누구? 관악산 호수공원쪽에서도 보였고, 야외식물원쪽에서도 꽤 많은 개체들을 볼 수 있었다.

    큰주머니광대버섯으로 동정

    큰주머니광대버섯으로 동정

    2010. 10. 16 관악산 솔봉 아래 큰주머니 광대버섯 어릴때 모습으로 생각되는데 확신은 없다. 이전에 이 근처에서 조금 큰 버섯을 본게 있는데 아래 링크 참조 http://rederiel.tistory.com/123

    관악산 버섯 (2010. 10. 11) - 9

    관악산 버섯 (2010. 10. 11) - 9

    호수공원 조금 지나 계곡 근처

    관악산 버섯 (2010. 10. 11) - 7

    관악산 버섯 (2010. 10. 11) - 7

    열녀암 아랫 계곡 근처. 아래 두개의 버섯이 색깔은 조금 다르지만 같은 버섯으로 보인다. 위에 하얀색은 어린 버섯, 아래 약간 녹색빛을 띄는 것은 포자를 퍼트리는 시기의 버섯이지 않을까 싶은데..

    관악산 버섯 (2010. 10. 11) - 5

    관악산 버섯 (2010. 10. 11) - 5

    열녀암 등산로 주변..

    관악산 버섯 (2010. 10. 11) - 4

    관악산 버섯 (2010. 10. 11) - 4

    무당버섯아재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는데..

    관악산 버섯 (2010. 10. 11) - 2

    관악산 버섯 (2010. 10. 11) - 2

    열녀암 등산로 주변